글쓰기자료

원고지 사용법

金 敬 峯 2007. 8. 3. 23:58
 
 
들어가면서
 
  기본적으로 원고지 사용법에 절대적인 원칙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보통 원고지를 사용하는 데는 일반적으로 따르는 형식이 있다. 논술을 원고지에 작성하도록 하는 이유는 원고지에 글을 쓰면 띄어쓰기와 맞춤법 사용 등의 기본적인 규범에 대한 이해 정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문단 나누기를 통한 내용파악의 용이성, 글의 분량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정한 형식을 갖추도록 원고지를 사용하는 능력은 논술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술적인 측면이며, 채점자의 첫인상을 좌우하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원고지 기본 사용법
1.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다만, 알파벳(소문자)이나 아라비아 숫자 등은 한 칸에 두 자씩 쓰는 것이 좋으며, 모든 문장 부호도 각각 한 칸을 차지하는 것이 좋다.(알파벳 대문자는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20
01
 
8
 
26
 
 발
 
<
 
 
>
 
,
 
 
17
5
cm
 
.
 
 
 W
ha
t
 
di
d
 
yo
u
 
sa
y
 
th
at
 
fo
r
?
 
w
 
ue
 
 
 
 
 
 
 
 
 
 
 
 
2. 문단의 첫머리는 한 칸을 비우고 둘째 칸부터 쓰기 시작한다. 이것은 새로운 문단의 시작을 의미한다. 새로운 문단이 시작될 때에만 첫 칸을 비운다. (줄의 맨 끝이 비울 칸이 없을 경우엔 다음 줄 첫 칸을 비워서는 안 되며, 이런 경우 줄의 맨 끝에 띄어쓰기 표(∨)를 하고 다음 줄 첫 칸은 붙여 쓴다.)
 
 20
01
 
8
 
26
 
 발
 
<
 
 
>
 
,
 
 
17
5
cm
 
.
 
3. 띄어쓰기는 맞춤법 통일안에 따라 써야 하며, 문장 부호 다음 칸에도 비우는 것이 원칙이나 반점(,)과 온점(.) 다음에는 한 칸을 비우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
!
.
?
 
 
 
 
.
 
?
4. 느낌표(!)나 물음표(?) 등은 한 칸의 가운데에 쓰나, 따옴표(" "), 반점(,), 온점(.) 등은 칸의 구석에 치우치도록 쓴다.
.
 
,
 
 
:
 
/
 
(
)
"
?
"
5. 부호가 찍혀야 할 자리에 줄이 끝나고 다음 줄로 넘어갈 경우, 그 부호를 다음 줄 첫 칸으로 넘기지 말고, 마지막 칸 속에 함께 표시해 준다. 이는 줄 첫머리가 '.'이나 ','로 시작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
)
 
 
다.
6. 대화는 줄을 바꾸어 쓰되 큰따옴표(" ")를 붙인다. 줄의 첫 칸을 비우고, 둘째 칸에 따옴표가 오게 한다.
 
 그
,
 
 
 
.
 그
 
 
 
 
 
 
 
 
 
 
 
"
 
 
 
 
 
 
 
 
 

교정 부호
1)교정 부호 1
 
  2)교정 부호 2
 
  3)교정 부호 3
 
  4)교정 부호 4
     

첫머리 쓰기
    원고지 첫머리에는 글의 종별, 제목(및 부제), 소속, 성명 등을 원고 용지 첫 장의 처음 5 - 6행 정도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배치한다.

1) 글의 종별(種別)

    1행 1칸부터 글의 종별을 표시한다. 가령 수필이면 <수필>이라 쓰고, 그 밖에 <소설>, <시>, <독서감상문>, <평론>, <일기>, <기행문>처럼 표시해 준다.

 

2)제목(題目)과 부제(副題)

① 제목은 2행 중심부에 놓이게 하되, 제목이 두 글자일 때는 두어 칸 벌려 써서 답답하지 않게 한다.
       【참고】제목의 글자도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제목을 쓸 때에는 문장 부호 사용에 주의한다.
    가) 마침표는 찍지 않는다.
    

    나) 물음표와 느낌표의 사용은 비교적 자유스러운 편이나 가능하다면 붙이지 않는 것이 좋다.
    

    다) 같은 계열의 낱말이 열거될 때에는 쉼표 대신 가운뎃점을 쓴다.
    

    라) 줄임표(……)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
    

제목이 길 때에는 두 행을 잡아 쓴다. 이 때, 두 행 중 첫 행은 좌측으로, 둘째 행은 우측으로 치우치게 쓴다.
   

부제가 있으면 본 제목 아랫줄에 쓰되 양 끝에 줄표를 한다.
   

    【참고】책이름에 낫표([ ])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나 이는 작은따옴표(' ')를 세로쓰기할 때 사용하는 부호이므로 잘못이다.
   


 

3) 소속과 성명

    원칙적으로는 제목 아래의 1행을 비우고 난 다음 두 행을 잡아 소속과 성명을 기입해야 하나 제목 바로 다음 행 오른 쪽으로 전체 균형을 잡아 쓰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소속의 끝 글자 바로 밑에 성명의 끝 글자가 오게 하여 위와 아래를 가능한 한 맞추고, 끝 글자 뒤에는 두 칸 정도 비운다.
   
    【참고1】새한글맞춤법에서는  성과 이름은 붙여 쓴다. 다만, 성과 이름을 분명히 구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띄어 쓸 수 있다.
          예) 윤동주(○)  황보현(○)   황보 현(○)
    【참고2】학교명을 단어별로 띄어 쓴 것은 띄어쓰기 원칙과 시각적인 효과를 고려한 것이므로 경우에 따라 붙여 쓸 수 있다.


   
    【참고】소속.성명의 위 아래 칸이 일치되지 않을 때는 뒷부분을 일치시킨다.


학교 이름이나 주소가 길 경우는 세 줄을 잡아 쓸 수 있다.
   
    【참고】주소(생년월일, 직업, 경력 등)는 보통 표제지에 기재하고 원고지 첫 장에는 제목과 성명만 간단하게 적는 것이 상례이다.

성명의 각 글자 사이는 시각적 효과를 위해 널찍하게 한두 칸씩 비워 써도 무방하다.
   
    【참고】소속 없이 성명한 적거나 소속.성명을 한 줄에 적는 경우에는 제목 아래 한 줄을 비워 답답하지 않게 한다.
학교명 앞에 지명을 기입할 때는 학교명을 모두 붙여 써서 지방을 표시하는 지명과  학교명의 구분을 명확히 해 준다.

학교 안에서 보일 원고는 소속을 ' ○ ○ 학교'라고 표시할 필요 없이 '학년, 반, 번호'만 적거나 간단하게 '학번'으로 나타낸다.

    【참고1】번호를 학년, 반 다음에 이어 한 행에 쓰는 것보다는 다음 행의 이름 앞에 적음으로써 전체적인 균형도 잡히고 반과 번호가 구분되기도 한다.

    【참고2】 소속, 성명을 한 행으로 적을 때에는 위 아래로 한 줄씩 비워 답답하지 않게 한다.

    【참고3】세로쓰기를 하고자 하는 경우, 제목은 위로부터 서너 칸 정도 비워 쓰고, 소속과 성명은 제목 다음 행 아래쪽에 가로쓰기에 준하여 배치한다.
 
(출처:블로그 스위스쮜리히대학원  덴마크 청년)
 
 

 

'글쓰기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름다운 우리말 (1)  (0) 2007.08.05
글 잘 쓰는 방법  (0) 2007.08.04
'되어 → 돼'에 대한 총정리  (0) 2007.08.02
우리글 '돼' 와 '되'  (0) 2007.08.02
훌륭한 문장 작성법 10가지  (0) 2007.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