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 일·가정의례

경주 김씨 대장군 공파- 사적 문헌, 분파, 항렬, 전 능 향사일

金 敬 峯 2008. 2. 10. 12:13
  

4. 대장군 공파

1. 계림 문헌록

 

1. 경주김씨 본원

2. 경주 김씨 족보서

3. 경주김씨의 본관연계

4. 경주의 연혁

5.  경주김씨시조유사

6. 계림 유허비명

7.계림 비각기

8. 계림 비각상량문

9. 경주김씨 선원세계보

10. 신라건국 계통연표

11. 신라김씨 왕계통연표

12. 경주김씨 추존왕계통보

14. 마의태자 김일

15. 대안군 김은열

16 대장군 김순웅

17. 공신회 맹록등 참고자료

18. 계림군 신도비명

19. 계림군 사우 중수기

20. 계림군 묘지명

21. 김계성 묘갈비명

22. 김종순 신도비명

23, 김종효 세척비명

24. 김종우 세척비명

25. 김인민 신도비명

26. 김인민 묘비명

27. 김승겸. 묘지명


탕강계림유허비

계 림   비  각

계림군신도비명

경순왕신도비명

경순왕왕릉비명

경순왕영정사실기

경순왕사적기

숭혜전의창시와연혁

마의태자김공일유사

후손에게내린특전

28. 김치운 묘비명

 

2. 마의태자 

    

신라 최후의 왕 김부(경순왕)의 태자인 마의태자(麻衣太子) 935년(경순왕 9) 10월 고려 건국자 왕건에게 항복하기로 결정한 후 태자는 천년사직을 하루 아침에 버릴 수 없다고 반대하였으나, 결국 고려에 귀부(歸附)를 청하는 국서(國書)가 전달되었다. 태자는 통곡하며 경주에서 올라와 인제군 상남과 가리산 피래에 은거하다가 개골산(皆骨山: 金剛山)에 들어가 베옷[麻衣]을 입고 초근 목피로 여생을 보냈다고 전해지나 무덤등 확실한 자료는 없다. 강원도 인제에 김부리(金富里)라는 마을이 있다. 지명이 경순왕의 이름 김부(金傅)와 똑같다. 그러나 이 김부는 경순왕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의 아들 마의태자를 의미한다. 이제 그 역사의 현장으로 찾아가 보자.강원도 인제를 지도에서 찾아보면 속초 쪽으로 거의 다 가 한계령을 넘기 직전에 있다. 인제군은 남북으로 기다랗게 뻗어 있는데, 김부리는 인제군의 남쪽 경계인 상남면에 소재한다. 서울에서 차로 가려면 46번 국도를 타고 가다가 인제 어구에 서 있는 ‘마의태자유적비’를 보고 우회전하여 들어가면 된다. 먼저 김부리에 대해 적어놓은 ‘인제군사’를 찾아보기로 하자. ‘본래 김부동 김보왕촌 김보왕동 등으로 불리다가 김보리가 되더니 김부리가 되었다. 김부리는 신라 56대 경순왕의 아들 마의태자가 이곳에 와 머무르면서 신라를 재건하고자 김부대왕이라 칭하고 군사를 모집해 양병을 꾀했다 하여 그렇게 불린다고 전해지며, 지금도 이곳에는 김부대왕각이 있어 봄, 가을에 동제를 지내고 있다.’ 그런데 김부리로 들어가 보니 사람이 하나도 살지 않는 폐촌 아닌가. 또 김부리와 나란히 갑둔리(甲屯里)가 있었다고 하는데, 장방형 분지여서 마의태자가 은신하기 좋은 곳이었다. 이곳 사람들은 김부리와 갑둔리를 ‘하늘 아래 첫 동네’라 말했다는데, 육군에서 재빨리 이 일대를 사격연습장으로 수용해버리는 바람에 사람이 살 수가 없었다. 지금 김부리에는 이 마을 어린이들이 다니던 초등학교 건물이 텅 빈 채 서 있고 그 옆에 대왕각이 남아 있다. 이름이 대왕각이지 서낭당이나 다름없다. 옛날에는 이 분지에 마을이 셋이나 있었고 마을마다 대왕각이 있었다고 하는데, 이제 하나 남은 대왕각마저 영원히 사라질 운명에 처해 있다. 1000년 동안 김부대왕각에서 김부대왕 제1자의 위패를 모셔온 신라 유민들이 뿔뿔이 흩어져서 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는 황량한 산골로 변해버린 것이다. 마의태자 유적지는 비단 경주김씨 후손이나 강원도 인제군의 역사 유적일 뿐만 아니라 우리 국군에도 호국정신을 기리고 가르치는 유서 깊은 역사의 장이다. 바로 그런 곳이 국군의 불도저에 의해 역사의 무대 밖으로 사라져 가고 있다. 필자가 갔을 때는 마의태자 유적지로는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대왕릉 터가 없어지고 그 위에 아스팔트가 깔리는 순간이었다. 마의태자 유적지가 강원도 인제군 설악산 기슭에 있다고 처음 밝힌 이는 19세기 초의 유명한 실학자 이규경이었다. 그는 그곳을 ‘김부대왕동(金傅大王洞)’이라 했다고 분명히 증언했다. 그러면서 자세한 것은 “인제 읍지(邑誌)에 실려 있으며 경순왕은 곧 신라의 항왕(降王)인 김부”라고 부연하였다. 그러나 이규경은 이 마을을 답사하지 못한 탓에, 김부가 마의태자란 사실을 모르고 경순왕으로만 이해했다. 실제로 김부리의 김부대왕각에 모셔놓은 위패에는 ‘김부대왕 제1자’라고 명기돼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의태자 생존 당시의 것으로 보이는 오층석탑도 이곳에서 발견되었다. 이 석탑에 ‘김부수명장존가(金富壽命長存家)’라는 비명(碑銘)과 요 성종 태평16년 병자 (서기 1034년, 고려 정종 2년)라는 간지(干支)가 나왔다. 그래서 어쩌면 이 탑이 마의태자가 죽고 난 후 그 후손이 세운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 항려(抗麗) 운동의 기지 김부리에는 마의태자와 관련된 유적, 유물들이 적잖게 남아 있었다. 앞에서 말한 대왕릉터와 김부석탑 2기(오층석탑 1기와 삼층석탑 1기), 그리고 마의태자를 따라온 충신 맹장군 일가의 고분군이 있다. 이 골짜기를 ‘맹 개골’이라 전하는데 개골산의 개골이 여기서 나왔다고 한다.그런데 흥미를 끄는 유물은 대왕각 제단에 배설돼 있었다는 철마상(鐵馬像)이다. 이것 역시 누군가 가져가버려 찾을 길이 없는데 그 모형이 남아 있다. 철마상을 두고 경주의 신라왕릉에서 발굴된 천마상(天馬像)을 모작한 것이 아닌가 추측하는 이가 있지만, 필자가 아는 한 철마상은 대장간에서 무사하기를 비는 부적(符籍)이었다. 이런 부적이 많았다는 사실로 미루어 이곳에 대장간이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장간에서는 농구뿐만 아니라 무기도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 밖에도 김부리가 고려에 반대하는 항려운동(抗麗運動) 기지였다는 증거로 이 고을의 특이한 지명을 들 수 있다. 김부리 옆의 마을 이름이 갑옷 갑(甲)자에 진 칠 둔(屯), 즉 갑둔리다. 갑옷을 입고 진을 친다는 군사적인 이름이 왜 필요했을까. 또 한 골짜기의 이름은 막을 항(抗)자에 군사 병(兵)으로 항병골이니, 이렇게 위험천만한 이름을 붙여 불렀다는 사실이 이상하다. 거기다 단지(斷指)골이 있고, 임금이 넘었다는 행차 고개에다, 수거 넘어 등의 지명이 있다. --- 행치령에서 시작되는 내린천 구경 하시고 -- 광복이라는 뜻이다. 이와 같은 지명들이 모두 마의태자의 광복운동을 암시하거나 그와 관련된 이름들이다. 이곳 인제 사람들은 지금까지도 마의태자와 관계 있다고 믿는 지명으로 경기도 양구군 북면에 있는 군량리(軍糧里)라는 마을 이름을 든다. 이곳에서 전해오는 말에 따르면, 마의태자의 부하인 맹장군이 양구지에 가서 병사를 모집하고 군량미를 징발해 저장하던 곳이라고 한다. 이외에도 경기도 양평의 용문사(龍門寺) 경내에 하늘 높이 서 있는 은행나무가 마의태자가 심은 것이라는 전설은 너무 유명하고, 인제와 지척간인 강원도 홍천군 동면에 지왕동(至王洞)이 있는데, 마의태자가 횡성군 탑산(塔山)을 거쳐 이 마을에 왔다가 인제로 떠났다는 것이다. 다물리 마을에서 해마다 지내던 민속행사 가운데 마의태자와 관련된 것이 적지 않았다 한다. 대왕각(大王閣) 동제(洞祭)에서는 제상에 꼭 미나리떡과 취떡을 올려놓았다는데, 마의태자가 이 곳에 와서 특히 좋아한 음식이었기 때문이라 한다. 그리고 제례 때는 절을 네 번이나 했다고 전한다. 천자(天子)가 아니면 4배까지 하지 않는 것이 예다. 이러한 김부리 마을의 동제는 고려 500년 동안 몰래 지내야만 했을 것이다. 고려왕조가 볼 때 마의태자는 반역자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마을 사람들은 궁리 끝에 마의태자라 하지 않고 경순왕 이름인 김부를 썼을 것이다. 탄압이 두려웠기 때문이다. 어쩌면 일족 몰살의 화를 당했을지 모른다. 다 아는 바와 같이 신라 멸망 후 200년 만에 영남지방에서 신라 유민들이 항려운동을 일으켰다. 그 때문에 무신들의 군사 쿠데타가 일어나는 등 고려왕조는 최대 위기를 맞기도 했다. 물론 이것은 마의태자와 직접 관계가 있는 사건은 아니지만, 신라 유민들은 신라가 망한 지 200년이 지난 시점에도 불만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경순왕이 군신회의를 열어 고려에 투항하기로 결정했을 때 마의태자는 화랑답게 아버지의 뜻에 순종하지 않았다. 아버지의 대권을 물려받을 사람이 바로 마의태자 아니던가. 그런 자리를 한마디로 반역자이자 역적인 왕건에게 넘겨준단 말인가. 그래서 마의태자는 아버지의 무조건 항복에 극력 반대했다고 ‘삼국사기’에서도 기록하고 있다. “나라의 존망에는 반드시 하늘의 명(天命)이 있는 것이니 마땅히 충신, 의사들과 더불어 먼저 민심을 수습하여 스스로 나라를 지키다가 힘이 다한 연후에야 그만둘 일이다. 어찌 천년 사직을 하루아침에 남에게 넘겨준단 말인가.”

 

3. 뿌리역사

1. 탕강계림유허비

2. 계 림   비  각

3. 계림군신도비명

4. 경순왕신도비명

5. 경순왕왕릉비명

6. 경순왕영정사실기

7. 경순왕사적기

8. 숭혜전의창시와연혁

9.  마의태자김공일유사

10. 후손에게내린특전

 


1. 대보공 휘 알지 탄강계림 유허비명

신라에 역사가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은 세상 사람이 역사를 읽지 아니함에 있는 것이다. 신라가 박석김(朴昔金) 3성이 나라를 세운 지 1000년이 되었고 계림은 알지가 탄생한 땅이니 지금의 영남지방인 경주부에 속하여 있으며 세상에서 김으로 성을 삼은 사람은 모두 다 알지로서 시조를 삼으니 지금의 그 땅에 전하여 그 세차와 연혁이 역사책에 기재된 것이 상세치 아니하나 이제 그 비문을 자료로 하여 대게 알게 된 것이다.
처음에 탈해왕시대에 시림에서 닭이 우는 소리를 듣고 금궤를 얻어 열어보아 어린아이가있음을 살펴보고 거두어 길러서 이름을 알지라 하고 성은 김씨라 하며, 시림을 계림으로 고치었다. 7세손 미추에 이르러 조분왕의 사위가 되었는데 조분왕이 아들이 없어서 미추가 대를 이어 왕이 되어 이사금이라 칭호하였다.
미추로부터  내물과 미추를 지나 눌지에 이르러 이사금을 마립간(麻立干)으로 칭호하고 백성의 의복제도와 우차의 사용법을 가르치었다. 눌지가 훙(왕 제후의 서거를 말함)하고 아들인 자비가 마립간이 되었다.
자비가 훙하고 아들 소지(炤智)가 마립간이 되어 비로서 시장을 개설하고 전방(지금의 상점)을 두게 하여 사방의 물화가 서로 통하게 하였다.
소지가 훙하고 아들 지증(智證)이 마립간이 되어 사람의 순장(殉葬)(죽은 사람을 위하여 살아 있는 사람을 따라 매장시킴)을 금하고 주(州).군(郡)에 명하여 농사를 권장하고 비로서 소를 사용하여 전답을 갈게 하고 국호를 신라로 정하고 방언을 고치게 하며, 왕호를 이사금이라 호칭하는 것과 마립간이라 호칭하던 것을 왕이라 호칭하게 하였고, 상복을 제정하였다. 왕이 훙하니 시호를 지증이라 하니 시법(사후에 별로 정하는 호)이 이때부터 시행되었다.
지증와의 아들 법흥왕이 법률을 반포하고 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였고, 연호를 건원(建元)이라 하였다.
진흥과 진지를 지나 진평왕에 이르러 아들이 없어서 선덕여주가 왕위에 나아가 귀족의 자제를 당나라에 파견하여 국학에 입학을 청원하여 유학케 하였다.
선덕여주가 훙하고 진덕여주가 즉위하니 진평왕의 모제(외숙)인 국반의 딸이다. 처음으로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하고 관복을 만들었고 사신을 당나라에 보내어 백제를 파한 것을 보고하였으며, 왕이 스스로 태평송을 지어 바치니 당 고종이 가상히 생각하였다 하며 중국의 연호를 비로서 행하였다.
진덕여주가 훙하고 태종무열왕이 왕위에 나가니 진지왕의 손자이며 인문이 당장(唐將) 소정방과 함께 백제를 멸하였다.무열왕이 훙하고 아들 문무왕이 즉위하여 부녀자에게 명령하여 중국의 의상(저고리 치마)를 입게 하고 당나라 군사와 함께 고구려를 멸하였으며, 역법(월력 또는 일력의 법)을 반포하고 모든 관인을 주조하였으며, 문무왕이 훙하고 아들 신문왕이 즉위하여 사신을 당나라에 들어가 예전(禮典)과 사장(詞章)을 청하니 칙천후(則天后)가 명령하여 길흉요례(吉凶要禮)를 문사(文詞)에서 고르고 규계에서 거친 것 50여권을 부지런히 만들어서  사하시었다.
신문왕으로브터 효성왕을 지나 성덕왕에 이르러 비로서 누각(물시계)을 만들었고, 효성왕을 지나 경덕왕. 혜공왕을 거쳐 선덕왕을 지나 원성왕에 이르러 독서출신(글을 읽어야 벼슬을 할 수 있는 법)을 정하고, 원성왕으로부터 소성왕, 애장왕, 희강왕, 민애왕, 신무왕, 문성왕,헌강왕, 진성왕, 효공왕을 지나 경순왕에 이르러 고려에 양여할새 왕자가 불가하다 하니 왕이 이르시기를 과인이 외롭고 위태하여 형세가 완전치 아니하니 죄없는 백성을 비참하게 죽게 함을 내 차마 못하리라 하시고, 시낭 김봉휴를 고려에 보내어 상서하여, 국조(國祚:나라의 지위)가 드디어 끊어지니 김씨가 38대에 무릇 588년을 지남이라. 대개 박씨, 석씨를 계승하여 왕위에 오른 후 나라를 누림이 길고 대략 예악과 문물이 신라로부터 일어남이라.
신라가 비로서 당나라와 서로 우호국이 됨에 중국의 사관의 법이 마련함이 이미 오래되었으나 동국이 떨어지고 고루하여 사적은 많으나 문장이 없어서 전하지 못한 것이 많더니 고려의 김부식이 신라사를 지었으나 그것이 거의 드믈어서 군자들이 크게 두려워 하던 바, 남공철(南公轍)이 경상감사로 있을 때 참봉 김성걸(金成杰)이 경주에 와서 계림의 기적(紀蹟)의 글을 청하니 잘하는 일이로다.
근본을 추앙함을 멀리 하니 이 땅에 전하려니와 이 땅에서 이 일이 또한 큰 것이라 어찌 써 주지 않으리오!  공자께서 주나라에서 탄생하시었으되 구(丘)는 은나라 사람이라 스스로 미자(微子)의 자손이라 하시고, 또 말씀하시기를 하(夏)나라의 예는 가히 말하거니와 기 (杞: 주나라 시대의 국명. 하나라 우왕의 자손의 영토는 현금의 기현:杞縣) 나라는 족히 고증을 하지 못하며 은나라의 예는 능히 말할수 있으나 송(미자가 세운 나라로써 하남성 남구현)나라는 족히 고증치 못하는 것은 문헌이 부족한 때문이라 하셨으니 이제 김씨가 사방에 헤어져 사는 것이 무려 12100여호가 되며 신러로써 다 시조를 삼으니, 공자께서 은라라에 있는거나 다름이 없음이라. 뒤에 이 비문을 잘 읽으면서 거의 취하여 사기에 궐(闕)함을 보충함이 있으리라. 명(銘)에 가로되,
저 무성한 계림은 왕업을 일의킨 터전이로다. 누가 감히 공경치 아니 하리오! 나의 이 명문을! 

준조계해  2월
가의대부경상도관찰사겸병마수군절도사 대구대도호부사 규장각직제학
지제(知製) 교(敎) 의령(宜寧) 남공철(南公轍) 근선

2. 계 림  비 각

옛 신라국 월성 아름다운 숲속에 비각이 우뚝 솟아 있는데 사방팔면이 우아하고 아름다움은 이를 데가 없다.
그 안에는 3자 크기의 작은 빗돌이 세워져 있다. 빗돌에는 전자체로 " 계림 김씨가 탄생한 유허지"라고 새겨져 았다. 이곳은 계림이고 비각 북쪽에는 옛부터 한 표석이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계림김씨의 시조가 탄강한 곳이 이곳이라는 사실에 접하여 사적을 찾는 이들에게는 금궤 위에서 닭이 울던 곳을 상상 볼 만한 일이다.
아! 천지간에 융롱한 정기가 어려 형상을 이룬 것이 태초에 사람이 생기는 길이라 하였건만 이같이 닭이 곁에서 홰를 치며 울어 사람에게 알린 것은 또한 무슨 까닭인가, 닭은 축시에 우는데 축시는 곧 동이 틀 때다.
박씨, 석씨 114년을 다스려 나라의 기틀이 정해졌고, 김씨가 나라를 이어받아 38왕에 문물이 점점 갖추어짐으로써 동방이 밝아오니 이것은 하늘이 진인을 내려보내 인물을 밝히고져 신계를 놓아 그 징조를 알림이 아니냐!
김씨는 알지로 시조를 삼는데 알지는 을축년에 탄강했으니 이 또한 이상한 일이다. 을축년으로부터 성조 임술년 1828년간에 소슬한 옛 자취가 어제인 듯 완연하니 김씨가 이곳을 지날 때 주(周)의 평림과 한(漢)의 대택(大澤)같이 사모하고 공경하여 생민을 위해 마련한 자취가 소멸될까 염려하여 의논끝에 재물을 모아 빗돌을 세워 연유를 기록하니 그 감회가 더욱 깊도다.
우리 대왕 대비는 요순같은 임금으로 주렴을 느리고 정사를 듣고 보살펴 억만년 종사를 굳혔고 신성한 왕손이 또한 을축년에 탄강해서 여러 해 뒤에 보갑을 마쳤으니 위로 따져보면 시조의 생년이 30년 을축이다.
금궤의 상서를 알린 것이 을축이니 동국에 정숙한 기운이 이 터에 나타나 종종 징험함이 나타나니 마땅이 김씨가 서로 보존해서 오늘에 이른 것은 하늘과 뜻이 함께 한 때문이 아닌가!
그 명을 지은이는 순창공 남철이요, 그 명을 쓴이는 부윤 최헌충이요, 전자를 쓴 이는 족손 단양군수 김희주요, 명과 글을 감독한 이는 전참봉 성걸이었다. 성걸이 이르되 " 비석에 각이 없으면 비바람에 마멸될 염려가 있다"하여 이에 참봉 창적과 전참봉 택려와 사인 영규가 힘을 모아 임술년 10월에 시작하여 이듬해 봄에 준ㄱ송하였으니 모두가 조상을 빛내는 보람찬 일이다. 이에 위해서 기문을 적는다.

 

3. 김균 계림군 신도 비명 (金균 계林君 神道碑銘)

태조께서 복조(福祚)를 열어 천의에 응하고 민의에 순하니 이때에 문무충훈의 신하들의 실로명세(세상에서 뛰어나)의 위인이 아니면 그 어찌 능히 용의 비늘과 봉의 날개를 거린(擧鱗)하였겠는가! 저 계림군 김공의 역사에 실린 사업은 비록 적료하나 산하에 맹시한 철권과 기린각에 모신 도상은 가히 무궁토록 빛날 것이다.
어찌 주나라의 십란(주 무왕을 보좌한 열 사람의 신하, 난의 치의 뜻)이라고 해서 모두가 서술한 전기가 있겠는가! 공의 체백지장(體魄之藏)은 광주오포태현 간좌원에 있으니,예전에 그 곳이 실전되었다가 후손 상국이신 사이 이 고을 유수로 있을 때에 고로들에게 수소문하여(찾았으나) 오직 인사라는 것은 궁한 연후에 통한다고 하더니,이는 자못 공의 성대한 훈업이 능히 신인의 도움을 얻었다고 하겠다.

예전에 주제의 묘소가 타인의 소유가 된 적이 있으니, 대저회옹(주자)이 손자가 되었음에도 오히려 이러하였으니, 그 수호하는 정성이 진실로 또한 어렵다 고 하겠다. 마침내 흙을 쌓아 봉분을 다졌다. 그 뒤에 현각을 세우지 못하고 공의 사손 참봉 정택이 그 아들 인시을 시켜 나에게 신도비문을 청하니 내 끝내 사양하지 못하고 삼가 그 보록을 살펴 서술한다.

공의 휘는 균이니 그 선대는 신라 경순왕에서 나왔다. 휘 순웅은 고려에 벼슬하여 장군이 되었으니 이로부터 대대로 대관이 나왔다. 증조의 휘는 수(粹)이니 예빈경이오 조의 휘는 기연(起淵)이니 판서요 고의 휘는 지윤(智允)이니 증 찬화공신 참지문하부사이다.
공은 날 때부터 특이한 자질을 갖추시어 엄연하고 굳세며 기국(器局)이 깊고 문사(文詞)가 뛰어나니, 제배들이 감히 바라볼 수도 없었다. 공양왕초에 밀직부사가 되고 신미년 가을에 왕이 수창궁에서 잔치를 베푸는데 공이 취흥을 타서 시 한 수를 읊었더니 헌사(憲司)의 탄핵을 받게 되었다. 안중서로생(安中 書魯生) 정복제총(鄭復齊摠)이 모두 시를 지어 위문하였다.
흥무 임신년에 익안대군 방의 등 39인과 더불어 성주를 추재하여 이미 수훈을 세우시니 봉호를 내려 주었다. 예로부터 제왕이 일어날 시에 비록 천명을 받았다 하더라도 또한 충직하고 지혜스러운 사람이 나서서 앞 뒤로(주서해 준) 뒤에야 큰 일이 이루어지는 것이니, 하늘과 사람이 같이 응하는 이치가 또한 속일 수 없다고 하겠다.

건원릉과 헌릉의 신도비의 음사에 모두 공과 배공 극렴(1325~1392) 여러 공신의 이름이 기록되었다. 벼슬은 보국숭록대부 의정부좌찬성에 이르고 시호는 재숙공이오 사당은 백세불천지묘로 되었다. 생년은 고증할 수 없고 무인 8월 10일에 돌아가셨다.
공은 전후배(前後配)가 있으니 묘소에 합부하였다. 배 안동권씨는 판서 현의 딸로 1남을 두셨으니 맹성(孟誠)이라 판서 희경공이오, 1녀는 신한에게 출가 하였으니 장령이다. 배 무송윤씨는 지평 식녀로 2남을 두었으니 중성(仲誠)은 판봉상사사로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계성(季誠)은 산원대경으로 판서에 추증되었다.
장방은 무후하여 차방이 공의 제사를 주관하였다. 안민(安民)은 판사재감사요 신민(新民)은 집현전부제학이오, 인민(仁民)은 (한성)판윤이오 사정 신서와 사정 박경지는 두 여서이다.계방에 종순(從舜)은 한성부윤이오 정랑 권격은 여서이다.증현손이하는 모두 기록하지 못하니 자손이 번역하고 관작이 빛나니 명공신경이 대대로 끊어지지 않았다. 생각건대 공이 쌓은 음덕의 소치라 하겠다. 그 뒤로 가장 뛰어난 분은 대사헌 승경, 판결사 춘경, 목사 태경, 판의금 하경, 전한 전, 좌찬성 당, 참판 시, 직제학 천령, 판서 인손, 대사헌 만균, 절도사 경원, 좌의정 경림부원군 명원, 참의 위, 찰방 성지, 판서 남중, 목사 원립, 부제학 경여, 참판 시진, 현감 진수, 감사 몽신, 영돈령 경은, 부원군 주신, 참판 재현, 참의 후연, 참봉 성호, 군수 정운, 판서 성운, 판서 효대, 판서 기대, 감사 여, 좌의정 사복, 참판 영작, 집의 성갑, 판서 정집, 좌상 홍집, 승지 철원, 참판 승집, 판서 창희, 부윤 철희, 참의 춘희, 유림 교헌 공으로부터 여기까지가 18대손이니 과거로써 미래를 점쳐 볼 때 어찌 다 헤아리겠는가!
한문공이 일찍 이르되 "누가 그 냇물을 풍성하다 하였는고! 그 근원은 생각지 않는가" 하였으니, 나는 공에게 또 이렇게 말하겠다. 명왈 이 광릉의 언덕은 훈덕을 갈무린 바라. 산이 무너지지 않고 물이 마르지 않을 지니, 바라건대 그 이름 길이 빛나리라.

시 문충공 연제 송병준 근찬
18대손 가선대부 중추원의장 송당 김정목 근립

 

4. 경순왕신도비명

동경(경주)에 경순왕의 전(殿)이 있은 지는 이미 오래 되었다.
제때에 향사를 모시고 모든 범절은 다 갖추어 졌으나 다만 글을 각하여 오래도록 전할 비가 없었다. 왕의 후손 재명(再鳴)이 세계(世系)와  사적을 적어 가지고 나에게 명(銘)을 청하는 지라 . 나는 경주 김씨와는 비록 적(관)은 다르지만 시조는 같은데 어떻게 그리 졸하다 하여 사양하겠는가?삼가 서(序)도 쓰고 명도 짓는바이다.
서하여 가로되 왕의 휘는 부(傅)인데 신라 사람이다.
시조는 알지이니 탈해왕 9년 을축에 시림에서 닭우는 소리를 듣고 금궤속에서 아이 하나를 얻었다. 왕이 거두어 기르며 알지라 이름하고 김씨로 사성하였으니 이것이 득성의 유래이다.
2세는 세한이오. 3세는 아도요, 4세는 수류요, 5세는 욱보요, 6세는 구도요, 7세는 말구이니 미추의 아우이다. 미추가 첨해왕(석씨)을 이어 서니 김씨가 여기에서 나라를 갖게 되었다. 8세는 냇물왕이요, 9세는 복호요, 10세는 습보로 아울러 갈문왕에 추봉되니 갈문왕이란 당시에 추존(追尊)일컬음이다.
11세 지증왕 원년 경진(庚辰)은 곧 제(중국의 남북조시대)의 동혼후(東昏候)영원(永元)2년에 국호를 신라로 정하고 처음으로 왕이라 칭하였으며 상제(喪制)를 반포하고 순장(殉葬)을 금하였으니 지증은 그의 시호이다.
12세는 진종이요, 13세는 흠운이요, 14세는 마차요, 15세는 법선이니 현성왕으로 추숭(追崇)되고 16세는 의관이니 신영왕으로 추숭되었으며 17세는 위문이니 흥평왕으로 추숭되었다.
18세 효양이니 명덕왕으로 추숭되고 19세는 원성왕이니 처음으로 독서출신과를 두었다. 20세는 예영이요, 21세는 균정이니 성덕왕으로 추숭되고 22세는 신무왕이요, 23세는 문성왕이요, 24세는 안(安)이오, 25세는 민공요, 26세는 실흥이니 의흥왕으로 추숭되고 27세는 효종이니 신흥왕으로 추숭되고 28세가 경순왕이다.왕은 경애왕(박씨)를 이어 서니 이해 정해(丁亥)는 ㅣ곧 후당(중국의 5대때)명종 천성(天成 2년)이다. 9년이 지난 을미년에 천명이 이미 바뀌었음을 알고 나라를 고려에게 물려 주니 왕자가 간하기를 "마땅히 충신 의사와 더불어 죽음으로 지키다가 힘이 다한 뒤에 그만둘 일이 옵니다."하니 왕이 이르기를,"나는 무고한 백성들이 피흘리고 죽어가는 것을 차마 보지 못하겠다"하고 그를 써서 고려 태조에게 보내어 양국을 하니 고려 태조가 손님의 예로 대하고 관광 순화 낙랑왕(觀光 順化 樂浪王)으로 봉하였으며 장녀인 신란공주(神鸞公主)를 아내로 맞게 하니 송나라 태종의 흥국 3년이오, 고려 경종 (무인: 3년 978)에 훙하니 시호는 경순이라 하였다.
릉은 장단부 고량진의 성거산 계좌(癸坐)에 있었는데 여러 차례 병화(兵火)를격다 보니 오랫동안 실전을 하였다가 영묘조(英廟朝)하였다가 무진에 이르러 지석을 얻어 나라에 알리니 계축을 특명하고 제사를 지내주었으며 수졸(守卒) 5인을 두게 하였다.
이보다 앞서 고도(故都)의 인사들이 왕의 백성들에게 인해로웠던 덕을 기리러 사당을 지어 영정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왔는데 천개(천개: 명나라 희종의 연호) 정묘(인조 5년)에 사당을 동천촌(東泉村) 으로 옮겼고 인조조에 김시양(金時讓)의 장청(狀請)에 의하여 묘우를 새로 짓고 김씨 성을 갖은 이로 참봉을 삼고 쌀을 내렸으며 노비와 전답을 두게하였다.
현묘조에는 또 연신(筵臣: 경연관)의 주청에 따라 "경순왕전'이란 묘호를 내리고 유생(儒生)과 수호군(守護軍)과 전졸(殿卒)을 두고 호세(戶稅)를 면제하여 주기를 숭인전, 숭의전, 숭덕전과 똑같은 예로 하였다.
선대왕(정조인 듯) 갑인년에는 전(전)뒷산에 사태가 날 염려가 있어 도신(道臣)이 진계(陳啓)하여  이건공비(移建工費)를 특사하여 사당을 경주부 남쪽 수리되는 봉황대 앞으로 옮겼으니 곧 미추왕릉의 아래로 계림에서 백무(한발걷는 거리)밖에 되지  않는 가까운 곳이다.
그래서 이미 제사를 지내 영령을 위로하고 또 영정을 새로 개모하여 예조에 명하여 유생과 전졸은 90여인으로 수호군은 100여인으로하여 호세 5결식을 면제하여 주도록 식례(式禮)를 정하고 참봉은 이조에서 첩지(帖紙)를 내리게 하였으니 열성조의 숭보(崇報)하는 의전이 비로소 크게 갖추어지게 되었다.대게 삼한시대에는 국사가 갖추어져 있지 않고 문헌도 무징(無徵)하니 왕의 9년 동안 재유(在宥:무위로 다스림, 곧 다스림)한 가모(嘉謀)와 선정은 바록 �어볼수 없지만 그 왕자에게 답한 말씀은 정령(丁靈: 친절함)하고 칙달(가엾게 여겨 슬퍼함)하여 덕의가 넘쳐 있으니 촉주(蜀主)와 북지왕(北地王)의 일과 견주어 보면 그 현우(賢愚), 명암(밝고 어둠)이 과연 어떻한가?
저 송나라의 오월(吳越)은 아주적은 나라로 대대로 제후의 법도를 지켜온 처지에 여러 진영이 차차 깍이고 평정에 다다름에 머리 숙이고 명을 청하였으나 그 후에 수신이 오히려 극 공덕을 낱낱이 들어 돌에 새겨 세웠는데, 생각건데 경순왕은 오래된 서업(緖業)을 이어 부강한 국력을 가졌으니 금탕(金湯)은 험함을 믿을만 하고 병갑(군사의 무기)은 족히 적을 막아낼만 하였으나 다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으로 천승(千乘)을 버리기를 페사(헌신짝)처럼 하였으니 어느 사람보다 어짐이 큰 것이다.
후세에 평판하는 선비가 잘한 일이라고 찬양하는 사람이 많았음은 지당한 일이나 전사(全史: 완전한 사기)와 패승(작은 사기)이 없었으니 중간에 그런 것을 쓰지 �아서 그렇게 되었을까?
혹 이따가 실전되었는가? 하여간 슬픈일이다. 왕의 묘정에 비를 세우기를 여러 사람이 청하여 선조에 이미 윤허를 받았으나 모든 준비가 덜 되어 이제야 비로소 각하기를 경영하니 바로 후손들의 보본하는 정성에서 이룩된 것으로 왕의 여운이 영해간 (嶺海間)에 애연(구름이 피어오르는 모양)히 덮혀 씌워짐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성하도다. 왕의 전비(前妃)는 박씨니 아들 셋, 딸 하나를 두었고 후비 왕씨는 아들 다섯, 딸 하나를 두�으니 태자와 차자(次子)와 영분공자(永芬公子)와 은열, 석, 건, 선, 추요장녀는 이금서(이금서)에게, 차녀는 황경(黃瓊)에게 출가하였다.
왕의 자손이 그수효가 억도 넘지만(많다는 뜻) 경주로 본을 한 집이 넷이 있으니 영분공자의 후손과 시중시랑공의 후손과 태사공의 후손과 판도판서공의 후손들이다. 명하여 가로되 계림의 오른쪽, 봉황대 남쪽에 영전이 그윽한이 단청도 빛나여라 유상(遺像)이 엄연하니 곤룡포(袞龍袍)에 수치마라 그 누구를 모시는가?
거룩하신 경순왕님 왕이 양국하실 적에 어진말씀 나타났다. 그와 같이 후덕하심 그 후손이 창성하네, 우뚝 솟은 용의머리 묘우 곁에 세웠도다 이 명시를 지었으니 영원토록 빛나리라.
정헌대부 예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경연 춘추 관사 홍문관 제학 강릉 김계락(金啓洛) 찬(찬) 하고 가선대부 예조참판 겸 동지 겸 동지경영성균관사  김노경(金魯敬)글 쓰다.

 

5. 경순왕 왕릉비명

경순왕은 신라 제56대 왕으로 후당천성(後唐天成)2년 무자에 경애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셨고 청태(淸泰) 을미에 고려에 양국하셨고 송태평흥국무인 (서기 978년) 고려경종 3년 4월 4일에 훙사하시거늘 시호를 경순이라 하고 왕례로서 장단고부남(長湍古府南) 8리 계좌지원(癸坐之原)에 장사하였다.
지극하신 행실이요, 순진하신 덕이시라 영명(英明)하신 모법(謨法)이 굳세고 빛나리라.

성상(聖上:영조) 23년 정묘(서기 1747년) 4월 4일에 개립(改立)하다

 

6. 경순왕영정사실기

경순왕의 영정은 본전(숭혜전)에 봉안한 것이 도합 4본이다.
원본은 은해사(銀海寺)로부터 옮겨왔고 정조 18년 갑인에 2본을 다시 본떠서 1본은 본전의 감실(위패나 영정을 모시는방)에 봉안하고 1본은 을람(乙覽:임금님이 보심)에 제공한 후 도로 본전에 보내어 구본과 함께 궤안에 봉안하였다.
고종 40년 계묘에 또 1본을 다시 본떠서 본전의 감실에 봉안하고 구본도 또한 궤안에 봉안하였다.
순천 송광사(松廣寺)에 또 경순왕의 영정 1본이 있으니, 이는 후손 한장(漢章)이 기증한 것이요.
원주 용화사 고자암에 또 1본이 있으니,이는 후손 사목(思穆)이 기증한 것이며 하동 쌍계사에 또 일찍이 1본이 있었는데 연전에 본전으로 옮겼다가 이제 하동 경천묘에 도로 봉안하였음.

 

7. 경순왕 사적기

경순왕 휘 부(傅), 신라 제56대왕 단기 3260년 정해 서기 927년 11월에견훤이 신라 제55대 경애왕을 핍박하여 자진케 하였다.
여사한 난리로 말미암아 견훤(본성은 이씨-상주사람)의 힘으로 동월에 즉위하시었다. 왕은 전왕의 시체를 서당에 모시고 군신으로 더불어 통곡하여 경애라 시호하고 남산해목령(南山蟹目領:경주)에 장사하였다.  고려 왕건(王建)이 사신을 보내어 조제하였다.왕은 즉위하시자 선고를 추존하여 신흥대왕으로 삼고 모를 왕태후로 삼았다. 삼국유사에는 조(祖)는 관 각간(角干)이니 추봉하여 의흥(懿興)대왕이라 하였다.단기3264년 신묘 서기 931년 2월에 고려 왕건이 신라왕건이 신라왕도를 방알(訪謁)하여 수십일 동안 머물러 있다가 돌아갈 때 경순왕의 종제 유겸(裕兼)을 인질로 삼아 왕건을 따라가게 하였다. 그런 데 왕건 휘하의 군사들은 군기가 바르므로 민가를 조금도 침해하지 않았다. 이에 도인(都人) 사녀(士女)들은 서로 기뻐하며 말하기를 "전일 견훤이 왔을 때에는 표호를 만난 것과 같더니 지금 왕건(王建)이 이르렀을 때는 부모를 보는 것과 같다"하였다.
동년 8월에 왕건이 사신을 신라에 파견하여 왕에게는 면채와 안마(鞍馬)를 보내고 관료와 장병들에게는 포백을 보내왔다.  이듬해 4월에 집사시랑 김불을 정사로 사빈경(司賓卿)이유(李儒)를 부사로 후당에 파견하여 조공하였다.
재위 8년 단기 3225년 임자 서기 892년 신라 제 51대 진성여왕 6년에 서남해 비장(裨將) 견훤이 반기를 들고 여러 성을 공격하면서 완산주(전주)를 근거로 후백제왕이라 자칭하고 남부지방을 점차적으로 점령하고 있었다.
단기 3234년 신유 서기 901년 신라 제 52대 효광왕 5년에 궁예가 송악(개성)에서 국호를 고려라 하고 왕이라 자칭하면서 단기 3237년 갑자 서기 904년에 국호를 마진(摩震)이라 개칭하고 연호를 무태(武泰)라 하였으며 동년 7월에 강원도(현 철원)에 천도하고  단기  3244년 신미 서기 911년에 국호를 태봉(泰封)이라 다시 고치고 또 다시 수덕만세(水德萬歲)라 개원하면서 서북부지방을 비록하여 금성(현 전라남도 나주)과 진도 등을 점차적으로 점령하고 있던 차에 궁예의 부하 왕건이 궁예를 출분(出奔)케 하고 단기 3251년 무인 서기 918년 신라 제 54대 경명왕(박씨) 2년 6월에 왕건이 즉위하고 국호를 고려라 하였으며 송악에 정도하니 신라의 국토는 날로 줄어들고 일반민심이 고려에 향함에 경순왕은 이러한 국정을 찰지통감(察知痛感)하고 군신회의(화백회의)를 열고 국토를 들어 고려 왕건에게 양국하기로 제의하였을 때 군신 중에는 혹 가하다는 파도 있고 혹 불가하다는 파도 있었다.왕자(세전 마의태자)는 말하기를   "나라의 존망에는 반드시 천명이 있는 것이니 마땅히 충신과 의사로 더불어 민심을 수합하여 스스로 나라를 굳게 지키다가 힘이 다한 연후에 이를 의논함이 옳은 것이어늘 어찌 1000년 사직을 하루아침에 경솔하게 다른 사람에게 주는 것이 옳으리오!"
하자 왕은 말하기를  "외롭게 위태함이 이와 같아서 형세는 능히 온전하지 못할 것이니 이왕 강하지도 못하고 또한 약하지도 못하니 무죄한 백성으로 하여금 간뇌를 땅에 바르게 하는 (참혹히 죽게 하는) 것은 내가 참아 하지 못하는 바라" 하고 곧 시낭 김봉휴(金封休)로 하여금 국서를 가지고 고려에 가서 왕건에게 양국할 것을 청하고 단기 3268년 을미 서기 935년 11월에 드디어 고려 왕건에게 양국하니 왕건의 장녀 낙랑공주를 계비로 삼고 동년 12월에 정승공으로 봉하니 태자의 윗자리에 올리고 세록(歲綠) 1천석을 주고 신앵궁을 창건하여 이를 주고 그 종자도 함께수록하여 너그럽게 전록(田綠)을 주고 신라국의 월성을 고쳐 경주라 하고 정승공의 식읍을 삼았다.
신라가 처음에 귀부할 때 왕건은 심히 기뻐하여 후례로써 대우하며 사자를 시켜 왕(나왕)에게 말하기를 "지금 왕은 나라를 과인에게 내주니 그 은혜가 큽니다. 원컨대 우리 종실과 혼인을 맺어 영원히 구생(舅甥)의 의를 즐겼으면 합니다"하니 나왕은 대답하기를   "우리 백부 잡간, 억겸(億兼)은 지대야군사(知大耶郡事)(현 협천)로 있는데 그의 딸이 덕용이 쌍미하니 이가 아니면 내정을 정비하기 어렵겠습니다"
하자 왕건은 드디어 그를 아내로 맞아 아들을 낳아는데, 이가 곧 고려 제8대 현종(왕건의 손자)의 선고(휘 욱:郁 )로서 안종으로 추봉하였다.  
단기 3308년 을해 서기 975년 10월에 고려 제5대 경종은 정승공(나왕)의 딸을 왕비(현숙왕후 삼국유사에는 헌숙왕후로 등재되어 있음)로 삼고 곧 정승공을 봉하여 상부령으로 삼아 식읍 8천호를 주고 상부도성령(尙父都省令)으로 가호하고 추충순의숭덕수절공신(推忠順義崇德守節功臣)의 호를 주고 식읍은 먼저와 통하여 1만호로 삼았다.
단기 3311년 무인 서기 978년 경종 3년 음 4월 4일에 승하하시므로 경순이라 시호하시었다.
릉: 경기도 장단군 장남면 고랑포리 현 동도 연천군 백학면 고랑포리 능은 과거에 관리소홀로 말미암아 180년 동안 실전되었다가 단기 4081년 무진 서기 1748년 무진 서기 1748년 조선 제21대 영조 24년에 발견되었으나 그 후에도 역시 방치상태에 있던 것을 단기 4308년 을묘 서기 1975년에 이르러 비로소 사적 제 224호로 지정되었고 이듬해에 정화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비 죽방부인 박씨 일운(一云) 소원왕후(昭元王后)예부시랑 광우(光佑)의 여 생 3남 1녀 비 낙랑공주 왕씨 신난궁부인(神鸞宮夫人) 고려 건(建)의 장녀삼국유사 권2의 김부대왕편에는 시호가 효목이라 하였다.  생 5남2녀비 안씨 생 1남신라에 골품제도가 있었는데 성골(聖骨)과 진골(眞骨)의 두 종류였다. 성골은 양친 모두 왕족이었으며 제28대 진덕여왕까지 성골로서 왕위를 독점상전하였으며, 진골은 양친 중 한편이 왕족으로서 제2골이라고도 하였는데 제29대 태종무열왕으로부터 제56대 경순왕까지가 진골로서 왕위를 상전하였던 것이다.나라사람들은 신라를 3대로 나누어서 시왕 제1대 박혁거세로부터 제28대 진덕여왕까지의 28 왕을 상대라 하고 제29대 태종무열왕으로부터 제36대 혜공왕까지의 8대를 중대라 하며 제37대 선덕왕으로부터 제56대 경순왕까지의 20왕을 하대라 한다.
신라는 건국이래 대개 화백의회에 의거하여 왕위를 상전하였으나 그 동안 영고성쇄로 말미암아 파란만장의 와중에서 박씨 10왕에 232년 석씨 8왕에 173년 김씨 38왕에 587년간을 통치하였으므로 역세 56왕 역년 992년이라는 유구한 성상이 연면히 흘렀던 것이었다.
고려 왕건은 비빈이 많고 그 자손이 또한 번연하여 제8대 현종은 신라 김씨의 외손으로 보위에 올랐거니와 그후 왕통을 끝까지 계승한 사람이 모두 그 자손이었으니 어찌 그 음덕의 갚음이 아니겠는가?

 

8. 숭혜전의창시와연혁

신라 경순왕이 나라를 양국한 후에 옛 도읍의 유민들이 왕께서 백성에게 베푼 덕의를 사모하여 월성에 사당을 세워 영정을 모시고 매양 명절에는 고을의 아전이 삼반관속(三班官屬)을 이끌고 제향을 올렸으니, 이는 초나라 사람들이 일간모옥(띠로 지붕을 이은집)에서 초나라 소왕(昭王)에게 제사지낸 의에서 나온 것이다. 불행히 임진왜란에 묘우가 불탔으며 그후부터는 제향올리는 의식을 화상(畵像)으로서 하지 아니하고 나무로 만든 위패로서 봉행하였다.  천계(天啓) 7년(인조5년 1672년) 정묘에 후손 김시양이 경주부윤으로서 본부에 이르러 왕의 사당에 배알하고 인하여 중건하기를 계청(임금에게 아뢰어 청함)하였으며 본부의 유생 김성원 등으로 더불어 경주부의 동쪽 5리쯤 되는 금학산 아래 동천촌에 터를 잡고 사당을 옮겨 일신하게 중건하였다.
그리고 참봉 1인을 두어 제향을 받들게 하였고(예조에서 차출하였음) 또 노비의 전지를 설치했으며, 제전(祭奠)은 관에서 담당하여 변. 두(대와 나무로 만든 제기) 각 7기로 한정하였다.
그후 97년째 되는 경종 3년(1723년) 계묘에 본도감사 조태억(趙泰億)이 순행하다가 본부에 이르러 왕의 사당에 배알하고 인하여 장계(임금에게 올리는 글)로서 청원하여 특히 경순왕 전호(殿號)의 선액(임금이 내린 선호)을 받았으며 요미(料米)와 말먹이는 콩도 모두 일정한 수량이 있었고 유생51인과 수호군 20인과 전졸 6명을 두었다.
정조 18년(1794년) 갑인에 정전 후면에 사태가 떨어지는 환난으로서 참봉 김건항(金健恒)이 궐문에 호소하였고 도신(道臣)이 장계를 올림으로써 특히 이건(李建)하라는 분부를 받들어 본도 감사 조진택(趙鎭宅)으로 하여금 터를 잡아 계문(啓聞:임금에게 아룀)하게 하였으며(곧 황남성) 본부윤 송전은 기일에 어긋날까 두려워하였다.또 장수승(長水丞) 이명기(李命基)에게 분부를 내려 왕의 화상을 다시 본뜨게 하였다. (왕이 일찍이 영천 불당의 후면 감실(위패나 영정을 모시는 방)에 간직했다가 본전으로 옮겨 봉안하였다. 그후 17년 만에 본전을 이건하였고 화상도 연구세심(年久歲深)하여 빛깔이 변했으므로 이분부가 있게 되었다.
5월 18일 역사를제시작하여 3개월 만에 낙성하여 [ 묘우(廟宇)가 오가삼간(五架三間)이요 내외 신문(神門)이 각 3칸이며 동서재가 각 4칸이요 가관방(假官房)이 삼칸이며 제기고(祭器庫)와 주장고(酒醬庫)가 각 1칸이요 고사(庫舍)가 2칸이며 공수(公須)가 2칸이요 주(廚)가 1칸이며 대문이 1칸이요 좌우내문이 2칸이며 마구(馬廐)가 2칸이었다.] 준공을 고하매 임금께서 친히 축문을 짓고 향을 내렸으며 8월초 10일 황남전에 봉안하였다.  (위판은 정당의 당중에 모시고 영정은 정당의 후벽 감실에 모셨음.)
다시 예조에 분부를 내려 규식(規式)을 정하게 했으니, 유생과 전졸은 각각 90여인이요 수호군 1백여명과 양정(良丁) 20명과 하전(下典) 60명을 두었으며 호세는 오결(일결은 열 묶음)을 면제하게 하였고 참봉은 이조로부터 직첩을 내렸다.(또 가관 1인을 두어 참봉이 유고할 때에는 분향을 대행하게 하였음.) 요미는 날마다 일석14두요 마태(馬太)는 10두이며 또 백미 262석을 하사하여 공장의 식량 및 공역의 용도에 충당하게 하였고(공장의 식량이 43석이요 공역의 용도가 219석이었음.) 무릇 공비(公費)가 10만8천6전 남짓하였다.(성손이 4만3천6백전을 기증하였고 참봉 김성휴가 만전을 희사하여 공역을 준공하여음.)
정조 4년(1780년) 경자에 부윤 김효대(金孝大)가 동천전에 비석을 세우는 일로서 소청(疏請)하여 곧 윤허(임금이 허락하심)는 얻었으나 공역을 갖추지 못한 때문에 분부가 내린 후 35년째되는 갑술년(순조14년 1814년)에 이르러 황남전 정문 밖에신도비를 세우게 되었다.
순조 3년(1803년) 계해년에 계림에 유허비를 세웠다. 신도비각은 1동 8면으로 되어 심히 치려하고 웅장했으며, 유허비각도 또한 이 제도를 모방했으나 규모가 작았다.
고종 24젼(1887년) 정해년 정언 김만제가 미추왕과 경순왕을 병향(幷享)하는 일과 전호를 소청하였고, 판부사 김홍집이 경연(임금 앞에서 경서를 강론하는 자리)에서 문무왕을 병향하는 일로서 진청하여 윤허를 받앗다.  이에 특히 본부윤 김철회에게 분부하여 묘우를 중건했으니, 오가오간(五架五間)이요 (동서재와 방과 곳간은 모두 잉구하였고 별달리 향축실 1칸을 사당 좌편에 건조하였음) 숭혜전의 선액(宣額)을 내렸으며 3왕의 위패를 만들고 경순왕의 영정을 다시 본떠서 무자년 8월초 10일을 택하여 변 8기와 두(豆) 8기를 갖추고 향과 축문과 폐백을 내려보내어 고유하고 봉안하였다. (영정의 감실은 본묘내 동벽 아래에 별달리 마련하였음.) 참봉은 전조(이조를 말함)로부터 별달리 지벌(地閥)과 문식이 있는 자를 택하여 차정하고 임기(50삭)가 차면 6품에 승진하였다.  전우(殿宇)의 수즙비(修葺費)는 규례에 의하여 마련하였고 호세 80결을 면제하기로 획정했으며 각 능소에 비석을 세웠고 병오년에 장예원으로부터 분부를 받들고 예관 김영래(金永來)를 보내어 전.릉의 경계를 사방 백보로 정하였다.
아! 경술년(융희4년 1910년) 이후에 제향의 경비를 춘추에 걸쳐 90원씩 관부로부터 의례 지출하였고, 병인년(1926년)에 비로소 축현릉 참봉을 두어 춘분과 추분에 석채례(釋菜禮)로 거행하고 제향의 경비 1백20원씩 의례 지출했으며 각 능마다 수호인을 두었다.

 

9. 마의태자 김公일 유사

경순왕의 장자로서 역사에그 이름이 전하지 아니하나 혹은 전이라 하고 대안군 은열의 묘지에는 일(鎰)이라 하였다.
삼국사에 이르되 경순왕이 전국토를 남에게양도하려하니 나라의 힘이 약하고 형세가 고립되어 스스로의 국가를 보존할 수 없음에서이다. 이에 여러 신하들과 국가를 고려에 귀속코저 어떤 이는 찬성하고 어떤 이는 반대하는 중 태자가 말하기를
  "나라가 존속하고 망함은 반드시 천명이 있을지니 다만 충신과 의사로 더불어 민심을 수합하여 죽음으로써 나라를 지키다가 힘이 다한 후에 양도해도 되거늘 어찌 가히 천년의 오랜 사직을 가벼이 남에게 넘길 수 있으리요  한대 왕은 "형세가 이와같이 위태로워 나라를 보전할 수 없다면 무고한 백성들로 하여금 죽음을 당하게 함은 내 참아 견딜수 없는 일이라"하고 시낭 김봉휴로 하여금 강서(降書)를 들려 고려에 보내거늘 태자는 통곡하면서 왕을 이별하고 개골산(금강산)에 들어가 바위를 의지하고 베옷을 입고 풀을 캐어 먹으면서 살다가 일생을 마치었다. 금강산 마가연사적(摩訶衍事蹟)에 이르되 태자께서 금강산에 든 후에 베옷을 입고 풀을 캐어 먹으면서 일생을 마치었으므로 후세에 마의태자(麻衣太子)라 일컬으게 되었다고 하였다.

 

10. 후손에게 내린 특전

경순대왕이 백성을 사랑하고 나라를 다스리는 어진 정치가 동방삼한에서 총명한 임금이었다.
오랑캐들(만주지방) 풍속을 다 없애고 악인들을 없애버리니 만백성은 대궐뜰에 엎드려 절하였다. 이제야 백성들이 붙좇게 됨을 얻엇고 상하신령이 모두 의뢰하고 큰 호걸이나 작은 교활한 무리들도 우러러 사모하면서 산산이 흩어졌고 대개 동방에 나라가 선 이래 경순왕의 덕택으로 후손들은 군대 복무와 부역 등을 일체 시키지 않았다.
고려의 왕조로부터 조선왕조 태종대왕(조선 제3대왕)에 이르러 전교를 내려 말씀하시기를 "경순왕 후손들을 대대로 사랑하고 그 후손에게 녹을 주었으되 비록 신분이 낮더라도 여러 가지 군대 복역과 부역 및 과거 등에 특별히 보아주되 침범하지 못하게 말리도록 간곡히 칙령을 내리노라" 하였고
선조대왕(조선 제14대왕)께서는 전교를 내려 말씀하시기를
  "대대로 그 자손에게 녹을 주어 등용하고 비록 약질로 생긴 자손이나 천한 서열일망정 천역과 열사를 강(講)하지 못하더라도 건드리지 못하게 말리라고 재삼 칙령으로 깨우치노라"
하였으며, 효종대왕은 (조선 제17대왕)께서는 하교하여 말씀하시기를
  " 경순왕 자손의 녹봉과 사랑하는 법전은 이미 국전에 실려 있으니 혹시 범하여 사사로이 노비로 삼는 자가 있으면 본관으로부터 즉시 석방하여 양민으로 돌아가게 하고 군의 복역과 부역을 시키지 말도록 재삼 전교하노라"
하였고, 숙종대왕(조선 제19대왕)께서는 전지를 내려 말씀하시기를
  " 경순대왕 자손의 녹봉과 사랑하는 법전이 국전에 적혀있어 분명히 상고할 만한 고로 몇해 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호패를 내리고 군대와 부역의 의무를 없이하고 열사릉 강하지 못하더라도 건드리지 못하게 말리라고 한 것은 한결같이 선대 제왕들이  고시한 바로 그 성교를 받들어 이에 받아 전하여 시행하는 바이다"
하였으며, 영조대왕(조선 제21대왕)께서 전교하여 말씀하기를
  " 경순왕 후예들을 군대와 부역에서 빼어주는 것은 선대 임금때부터 전해오는 전교이니 선조를 따르므로서 금석과 같은 법전이로다" 하였다.

 

4. 대장군공 계보도

 참고

  

5. 계림군파 종통

 참고

  

6. 분파개황

 

1.장군공(휘 순웅-대보 휘 알지공후)의 분파개황

       1.연동(蓮洞)(장군공 12세손 휘 의 : 義)파
       2.계림(鷄林)군(장군공 13세손 휘 균 : 균)파
       3.송강(松岡)공(장군공 13세손 휘 헌 :헌)파
       4.충문(忠文)공(장군공 13세손 휘 온 : 穩)파
       5.정수(貞肅)공(장군공 13세손 휘 서 : 서)파
       6.현령(懸令)공(장군공 13세손 휘 능 : 稜)파
       7.봉산(鳳山)(장군공 13세손 휘 세보: 世寶)파
       8.춘고(春皐)공(장군공 14세손 휘 순 : 恂)파
       9.대성(大成)공(장군공 14세손 휘 순 : 筍)파
      10.감사(監事)공(장군공 15세손 휘 안민 : 安民)파
      11.부제학(副提學)공(장군공 15손 휘 신민 : 新民)파
      12.판윤(判尹)공(장군공 15세손 휘 인민 : 仁民)파
      13.공호(恭胡)공(장군공 15세손 휘 종순 : 從舜)파
      14.부사(府使)공(장군공 15세손 휘 종효 : 從孝)파
      15.진사(進士)공(장군공 15세손 휘 종우 : 從禹)파

2.영분공(대보공 휘 알지의 29세 휘 은열 시 영분공)의 분파개황

    아래 각 파는 영분공 12세손 명암공 휘 인경의 후손에서 분파된 파명임.

            1.두계(杜溪)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충유 : 沖裕)파
            2.수은(樹隱)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충한 : 沖漢)파
            3.시어사(侍御史)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충보 : 沖保)파
            4.참찬(參贊)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충익 : 沖益)파
            5.밀직(密直)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충원 : 沖源)파
            6.병판(兵判)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남보 : 南寶)파
            7.판삼사사(判三司事)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남비 : 南비)파
            8.평장사(平章事)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남길 : 南吉)파
            9.두암(兜菴)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남귀 : 南貴)파
           10.강릉(江陵)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충하 : 沖河)파
           11.참의(參議)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생수 : 生水)파
           12.부사(府使)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상한 : 相漢)파
           13.현감(縣監)공파(영분공의 16세손 휘 정심 : 正深)파
           14.강릉(江陵)공파(영분공의 17세손 휘 서 : 서)파
           15.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파(영분공의 18세손 휘 천서 : 天瑞)파
           16.호연당(浩然堂)공파(영분공의 19세손 휘 자양 : 自養)파

3.대안군(대보공 휘 알지의 29세 휘 은열 시 대안군)의 분파개황

       1.대안군(휘 은열)을 기세(起世)로 한 파
       2.충렬(忠烈)공(대안군 8세손 휘 방경 : 方慶)파
       3.충선(忠宣)공(대안군 11세손 휘 혼 : 琿)파
       4.예판(禮判)공(대안군 12세손 휘 효충 : 孝忠)파
       5.사간(司諫)공(대안군 12세손 휘 효백 :孝白)파
       6.병판(兵判)공(대안군 14세손 휘 덕재 : 德載)파
       7.예참(禮參)공(대안군 14세손 휘 광재 : 光載)파
       8.백촌(白村)공(대안군 17세손 휘 문기 : 文起)파
       9.익화(益和)군(대안군 17세손 휘 인찬 : 仁贊)파

4.판도판서공(휘 장유-대보 휘 알지공후)의 분파개황

       1.판군기감사(判軍器監事)공(판도판서공 3세손 휘 을식 : 乙湜)파
       2.감사(監司)공(판도판서공 3세손 휘 을돈 : 乙敦)파
       3.직장(直長)공(판도판서공 3세손 휘 을당 : 乙塘)파
       4.공조판서(工曹判書)공(판도판서공 3세손 휘 을귀 : 乙貴)파
       5.이조판서(吏曹判書)공(판도판서공 3세손 휘 을기 : 乙器)파

 5.태사공(휘 인관-대보 휘 알지공후) 의 분파개황

       1.태사(太師)공(휘 인관)을 기세(起世)한 파 
       2.전서(典書)공(태사공 9세손 휘 자정 : 子汀)파
       3.상촌(桑村)공(태사공 9세손 휘 자수 : 子粹)파
       4.우재(愚齎)공(태사공 10세손 휘 한 : 漢)파
       5.송재(松齎)공(태사공 11세손 휘 수량 : 遂良)파
       6.판관(判官)공(태사공 11세손 휘 영년 : 永연)파
       7.좌랑(佐郞)공(태사공 11세손 휘 영원 : 永源)파
       8.사승(司丞)공(태사공 11세손 휘 영민 : 永전)파
       9.공평(恭平)공(태사공 11세손 휘 영유 : 永濡)파

 

8. 계림군파 항열도

 

鷄林君派(계림군파)
 

파조
 

중조
 

경순왕

시조

孟派(맹파)

仲派(중파)

京派(경파)
 

順雄

閼智

희경공파
휘 맹성

부제학공파
휘 신민

공절공파
휘 당

송애공파
휘 경여

판윤공파
휘 인민

공호공파
휘 종순

부사공파
휘 종효

순웅

알지

泰태
○○

○○鎭진

 

星성
○○

○○
集집

○○
集집

星성
○○

           

○○
集집
 

○○
鎰일

16세

28세

30세

57세

○○
洙수

東동
○○

 

○○
遠원

○○
熙희

○○
熙희

○○
遠원

   

 

 

 

 

○○
熙희

永영
○○

○○
熙희

17세

29세

31세

58세

秉병
○○

相상
○○

○○夏하

○○
商상

敎교
○○

敎교
○○

載재
○○

○○
商상

 

 

 

 

 

敎교
○○

敎교
○○

相상
○○

18세

30세

32세

59세

○○
煐영

燮섭
○○

煥환
○○

正정
○○

正정
○○

     

 

 

 

 

正정
○○

正정
○○

19세

31세

33세

60세

埈준
○○

   

○○
植식

○○
經경

○○
經경

○○
植식

   

○○
經경

 

 

○○
經경

○○
經경

20세

32세

34세

61세

○○
錫석

   

學학
○○

知지
○○

知지
○○

學학
○○

時시
○○

 

冠관
○○

知지
○○

知지
○○

○○
榮영

知지
○○

○○
榮영

21세

33세

35세

62세

潣민
○○

   

○○
基기

○○
式식

○○
式식

○○
基기

○○銖수

○○鍾종

鍾종
○○

鐸탁
○○

○○
式식

○○
式식

丙병
○○

○○
基기

○○
式식

22세

34세

36세

63세

○○
根근

   

鎭진
○○

是시
○○

是시
○○

鎭진
○○

○○洪홍

○○泳영

○○
洙수

○○
浩호

是시
○○

是시
○○

時시
○○

是시
○○

鎭진
○○

23세

35세

37세

64세

洛낙
○○

   

○○
洙수

○○
友우

○○
洙수

相상
○○

東동
○○

 

東동
○○

柱주
○○

○○
友우

○○
友우

○○
善선

○○
友우

○○
善선

24세

36세

38세

65세

○○
城성

   

相상
○○

胄주
○○

相상
○○

○○
烈열

○○
煥환

 

○○
煥환

○○
炫현

胄주
○○

胄주
○○

○○
洛락

胄주
○○

○○
洛락

25세

37세

39세

66세

鍑복
○○

   

○○
煥환

○○
煥환

奎규
○○

中중
○○

 

奎규
○○

致치
○○

○○
韶소

○○
韶소

相상
○○

○○
韶소

相상
○○

26세

38세

40세

67세

○○
澈철

   

奎규
○○

奎규
○○

     

○○
鎭진

○○
鎬호

道도
○○

道도
○○

光광
○○

道도
○○

光광
○○

27세

39세

41세

68세

楠남○○
 

   

○○
鉉현

○○
鉉현

     

泳영
○○

淳순
○○

○○
厚후

○○
厚후

○○
奎규

○○
厚후

○○
奎규

28세

40세

42세

69세

○○
烈열

   

海해
○○

海해
○○

     

○○
根근

○○
杰걸

○○
鎬호

○○
錫석

○○
鎬호

○○
錫석

29세

41세

43세

70세

奎규○○
 

   

○○
杓표

○○
杓표

     

容용
○○

恒항
○○

洪홍
○○

洪홍
○○

30세

42세

44세

71세

○○
銹수

   

炳병
○○

       

○○
老노

○○
達달

根근
○○

根근
○○

31세

43세

45세

72세

滿만○○
 

   

○○
培배

       

善선
○○

商상
○○
 

容용
○○

容용
○○

32세

44세

46세

73세

○○
桓환

   

錫석
○○

       

○○
雨우

○○
承승

○○
在재

○○
在재

33세

45세

47세

74세

燉돈○○
 

   

○○
漢한

       

榮영
○○

和화
○○
 

鍾종
○○

鍾종
○○

34세

46세

48세

75세

○○
壕호

   

柱주
○○

       

○○
然연

○○
憲헌

○○
求구

○○
求구

35세

47세

49세

76세

 

송강공파, 충문공파, 정숙공파, 현령공파, 수성백파, 예판공파

禮儀判書公派
예의판서공파
파조南基(남기)

隨城伯派
수성백파
파조昉(방)
 

縣令公派현령공파

貞肅公派
정숙공파

松岡公派송강공파

파조
(諱 헌)
(諱 서)
(諱 능)
 

중조
將軍公
장군공

敬順王
경순왕

始祖
시조

○○
炳병

○○
魯노

○○
燮섭

21세

○○
浩호

19세

廷정
○○

集집
○○

聲성
○○

16세

28세

30세

57세

奎규
○○

圭규
○○

憲헌
○○

22세

景경
○○

20세

基기
○○

○○
熙희

宗종
○○

17세

29세

31세

58세

○○
晉진

○○
釣조

○○
鎭진

23세

○○
植식

21세

○○
九구

敎교
○○

載재
○○

18세

30세

32세

59세

泳영
○○

洛낙
○○

澈철
○○

24세

明명
○○

22세

洪홍
○○

正정
○○

良양
○○

19세

31세

33세

60세

○○
樂낙

○○
東동

○○
植식

25세

○○
賢현

23세

○○
植식

○○
植식

麗려
○○

20세

32세

34세

61세

熙희
○○
 

炳병
○○
 

煥환
○○
 

26세

鎔용
○○

24세

炳병
○○

學학
○○

○○
奎규

21세

33세

35세

62세

○○
埰채
 

○○
周주
 

○○
基기

27세

○○
淵연

25세

○○
均균

○○
基기

庚경
○○

22세

34세

36세

63세

錫석
○○
 

鉉현
○○
 

 

28세

相상
○○

26세

鐘종
○○

鎭진
○○

○○
浚준

23세

35세

37세

64세

○○
準준

○○
湜식

○○
漢한

29세

炳병
○○

27세

○○
海해

○○
洙수

東동
○○

24세

36세

38세

65세

柱주
○○

模모
○○

 

30세

○○
圭규

28세

榮영
○○

東동
○○

○○
燮섭

25세

37세

39세

66세

○○
勳훈

○○
燦찬

 

31세

○○
善선

29세

○○
烈열

○○
煥환

重중
○○

26세

38세

40세

67세

喆철
○○

在재
○○

 

32세

○○
洙수

30세

在재
○○

奎규
○○

○○
均균

27세

39세

41세

68세

○○
鍾종

○○
鎔용

 

33세

柱주
○○

31세

○○
鎬호

○○
鉉현

鉉현
○○

28세

40세

42세

69세

河하
○○

濟제
○○

 

34세

○○
烈열

32세

俊준
○○

海해
○○

○○
海해

29세

41세

43세

70세

○○
根근

○○
林림

 

35세

○○
宰재

33세

○○
相상

○○
杓표

杓표
○○

30세

42세

44세

71세

焞돈
○○

炯형
○○

 

36세

鎭진
○○

34세

南남
○○

炳병
○○

○○
炳병

31세

43세

45세

72세

○○
埴식

○○
埈준

 

37세

○○
洪홍

35세

○○
炫현

○○
培배

培배
○○

32세

44세

46세

73세

鉦정
○○

鎬호
○○

 

38세

東동
○○

36세

錫석
○○

鎔용
○○

○○
錫석

33세

45세

47세

74세

 

 

 

39세

○○
求구

37세

○○
泰태

○○
洛낙

漢한
○○

34세

46세

48세

75세

 

 

 

40세

○○
坤곤

38세

明명
○○

義의
○○

○○
柱주

35세

47세

49세

76세

 

 

9. 전.능. 향사일 

전.능 향사일(殿.陵 享祀日)

구       분

향사일

소재지

주     관

숭  혜  전

춘분

경주시 황남동

전릉 보존회

세      묘

3월 初丁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추분

경주시 황남동

내물왕릉

추분

경주시 교동

선덕여왕릉

추분

경주시 배반동

태종무열왕릉

추분

경주시 서악동

법흥왕릉

음 3.24

경주시 효현동

진평왕릉

3월 初丁

경주시 보문동

문무왕릉

입하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甘浦 종친회

경덕왕릉

곡우

경주시 내남면 부지리

外南 종친회

원성왕릉

음 3.20

경주시 외동읍 괴릉리

外東 종친회

흥덕왕릉

3월 中丁

경주시 안강읍 육통리 능곡

安서종친회

신무왕릉

3월 初丁

경주시 동방동

 

경순왕릉

양 10.3

경기 장단군 장남면 낭포리

 

 

5월 중 택일 향사

진흥왕릉

경주시 서악동

진지왕릉

경주시 서악동

진덕왕릉

경주시 현곡면 오류동

효소왕릉

경주시 조양동

성덕왕릉

경주시 조양동

헌덕왕릉

경주시 동천동

희강왕릉

경주시 내남면 망성리

민애왕릉

경주시 내남면 망성리

문성왕릉

경주시 서악동

헌안왕릉

경주시 서악동

헌강왕릉

경주시 남산동

정강왕릉

경주시 남산동

효공왕릉

경주시 배반동

 

파조 세사일

구분

세사일

소재지

계림군

음 10.1

경기도 광주군 오포면 능평리

 

 

 출처 : 블로그>banya

 

'집안 일·가정의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친간 호칭법  (0) 2008.02.11
경주 김씨 역대 주요 인물  (0) 2008.02.10
경주 김씨 세계- 왕조사, 항렬, 분파, 인물  (0) 2008.02.10
경주 김씨 유래  (0) 2008.02.10
경주김씨 족보개황  (0) 2008.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