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 이외수
시인은 유난히 눈물이 많은 사람이다.
이른 봄 양지바른 비탈에 피어 있는 연분홍 진달래만 보아도 눈물을 흘리고,
초여름 먼 산에서 우는 뻐꾸기 소리만 들어도 눈물을 흘린다.
시인은 아무런 탐욕이 없다.
아무리 아끼는 물건이라도 탐내는 사람이 있으면 조금도 망설이지 않고 주어버리면서도,
정작 한번도 남의 물건을 탐낸 적은없다.
시인은 시가 세상을 썩지 않게 만드는 최상의 방부제라고 생각한다.
마음이 부패하면 시도 부패하고, 시가 부패하면 세상도 부패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아무나 농사를 지을 수는 있어도 아무나 농사꾼은 될 수 없으며,
아무나 시를 쓸 수는 있어도 아무나 시인이 될 수는 없다.
피땀을 흘리지 않는 농사꾼이 풍성한 수확을 기대할 수 없듯이
고통을 감내하지 않은 시인이 아름다운 시를 기대할 수는 없다.
시는 무통분만이 불가능한 예술이기 때문이다.
증류수처럼 투명한 영혼을 간직한 채 살아가는
이 시대의 마지막 서정시인은 당연히 낭만과 예술이
매몰되어 가는 현실을 남보다 몇 배나 고통스러워하면서 살아갈 수 밖에 없다.
시인이 자유를 노래하는 것이
도대체 어느 하늘 아래에서 죄가 되는가
나는 자유롭게 살고 싶었다. 나는 인간답게 살고 싶었다.
그러나 단 한 번도 자의에 의한 삶을 살아갈 수가 없었다.
나는 언제나 외톨이었다.
사람들은 어느 사이에 돈이나 기계나 제도 따위와 한패가 되어
나와는 전혀 다른 시간들을 경영하면서 살아가고 있었다.
사랑하는 빈센트 반 고흐, 나도 한쪽 귀라도 자르고 싶었다.
시인은 쇠그물이 쳐져 있는 봄의 창살 밑에서
날마다 온정신을 집중시켜
원고지 속에다 자유라는 이름의 씨앗들을 심어넣는다.
시인의 아픔을 이해할 수 있는 대통령은
만백성의 아픔도 이해할 수가 있다.
시인은 결코 닭이 아니다.
날만 새면 습관적으로 울음을 울어서 다른 사람의 잠을 깨워주어야 하고
둥지에 들어앉기만 하면 의무적으로 하루 한 알씩 계란을 낳아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몰상식한 인간들의 편견에 지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