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 식물

선령비주(음양곽)

金 敬 峯 2008. 7. 3. 23:19

성기능 감퇴, 발기부전의 약술 <선령비주(음양곽)>

 

<삼지구엽초>


선령비술은 음양곽이 주된 약재이고 다른 약재는 보조적으로 이용되는 약재이다.

음양곽은 일명 선령비(仙靈脾) 라고도 하며 삼지구엽초의 잎을 말린 것이다.

신허(腎虛)로 인한 노인성 치매, 하반신 무력, 권태에 효과가 크다.

음양곽의 최음 작용은 정액의 분비가 왕성해지는 작용 때문에 생기는 것인데, 정낭의 충만

(充滿)으로 인한 지각 신경계의 자극에 의해 간접적으로 흥분이 일어나는 것이라 한다.

육종용은 생식 기능을 중심으로 하는 모든 기능의 감퇴에 효과가 있는데 특히 남성의 발기

부전, 조루, 여성의 불임증, 부정 성기 출혈, 백대하 등에 효과적이다.

복령의 보익 이신(補益利腎) 효과와 어울려 상승 효과를 나타낸다.


재료 : 음양곽 50g / 육종용 30g / 복령 40g / 자감초 20g / 소주 1000㎖ / 설탕 100g /

벌꿀 100g / 미림 50㎖


담그는 법 : 준비된 생약을 썰어 용기에 넣고 30도 짜리 소주를 붓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처음 4~5 일간은 1일 1회 술을 가볍게 흔들어 준다.

10일 후에 마개를 열어 건더기를 천으로 걸러내고 술은 다시 용기에 넣고 설탕과 벌꿀, 미

림을 넣고 잘 저어 녹인다.

여기에 생약 건더기 1/5을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개월 후에 마개를 열어 남아있는 건더기를 천 또는 여과지로 거른다.

약간 쓴맛이 있는 짙은 흑갈색의 약술이 완성된다.


음용법 : 1회 20㎖, 1일 2회, 식전 또는 식사 사이에 마신다


효능 : 성기능 감퇴, 발기 부전, 조루, 하반신 무력, 유정, 건망증, 신경쇠약 증상에 효과를

보인다.

 

(남편분이 술을 좋아 하면 정력주를 만드는 방법을 알려드리죠.

음약곽 100g 복령 100g (복령은 백복령 보다 적복령으로 달라고 하세요)

꿀 50g 소주 1되 이렇게 담그서 100일 후 개봉하여 식후 한잔 (소주잔)

씩 드시면 됩니다.

너무 많이 드셔서 취하면 안됩니다.

보다 빨리 드셔야 한다면 음양곽과 복령을 물 3리터를 넣어 절반정도가

될때까지 닳여서 드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해보시면 압니다.파워?

좋은 날 많으시길. 빕니다.

위에것 다 구입하면 1만원 안쪽이면 될것입니다. 저렴하죠?ㅎㅎ)

 

음양곽[淫羊藿]

본문

다른이름 : 剛前(강전),乾鷄筋(건계근),棄杖草(기장초),放杖草(방장초),三枝九葉草(삼지구엽초),仙靈脾(선령비),千兩金(천량금),黃連祖(황련조)

약 맛 : 감(甘) 신(辛)

귀 경 : 간(肝) 신(腎)

주 치 : 莖中痒痛,筋骨攣急,半身不隨,頻尿,四肢拘急,小便淋瀝,小兒麻痺의 急性期,陽痿,陽痿不擧,腰膝無力,痿癈,遺尿,遺精,風濕痺痛

약용부위 : 풀전체

금 기 : 陰虛로 相火易動하는 者는 服用을 忌한다.

효 능 : 强筋骨,祛風除濕,補腎壯陽

주치증상 : <본경(本經)>: 陰痿, 絶傷, 음경통증을 치료하고 소변을 시원하게 하며 氣力을 증진시키고 기억력을 좋게 한다.

<별록(別錄)>근육과 골격을 튼튼하게 하고 임파선염을 치료하고 생식기 부위 부스럼을 치료하며 蟲을 씻어낸다. 丈夫가 오랫동안 복용하면 자식이 없다. 왕기(汪機)는 이에 대하여 無子라고 한 것은 잘못된 것이며 有子가 옳다고 하였다.

<지대명(池大明)>: 丈夫의 陽氣가 끊어져 자식이 없는 것, 여자가 陰氣가 끊어져 자식이 없는 것, 노인이 정신이 혼미해지는 것, 중년의 건망증, 모든 冷風과 피로, 근육경련, 사지의 감각이상을 치료하고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하며 자신감을 갖게 한다(池大明).

약물이름의 기원 : "이명으로는 仙靈脾(선령비), 放杖草(방장초), 棄杖草(기장초), 千兩金(천양금), 乾鷄筋(건계근), 黃連祖(황련조), 三枝九葉草(삼지구엽초), 剛前(강전)이 있다.

陶弘景(도홍경) : 이것을 복용하면 사람의 성기능을 좋게 한다. 西川北部(서천북부)에 淫羊(음양)이 있는데, 하루에 백 차례나 합방을 하는데, 대개 이 풀을 먹어서 그런 것이라고 하였다. 때문에 淫羊藿(음양곽)이라고 하였다.

李時珍(이시진)은 콩잎을 藿(곽)이라고 하는데, 이 풀의 잎이 콩잎과 비슷하기 때문에 藿(곽)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仙靈脾(선령비), 千兩金(천양금), 放杖(방장), 剛前(강전)은 모두 그 효과에 따라서 이름을 붙인 것이다. 鷄筋(계근), 黃連祖(황련조)는 모두 그 뿌리의 모양으로 이름을 붙인 것이다. 柳子厚文(류자후문)에는 仙靈毗(선령비)라고 되어 있다. 꼭지가 쏙 들어간 것을 毗(비)라고 하는데, 이 약물이 補下(보하)하는 효과가 있으니 뜻이 더욱 잘 통한다."

'약용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초 (1)  (0) 2008.07.05
오미자  (0) 2008.07.03
고삼  (0) 2008.06.28
천연 비아그라 야관문  (0) 2008.06.22
비수리(夜關門:야관문)  (0) 2008.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