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 News

내 안의 악마 짓밟아야 믿는 것

金 敬 峯 2009. 6. 26. 19:38

“교회 나간다고 믿는 것 아냐 … 내 안의 악마 짓밟아야 믿는 것” [중앙일보]  

기독교계 대표하는 신학자·구도자 김흥호 전 이대 교수

7일 서울 이화여대 신학대학원 강당에서 김흥호 목사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신약성경을 강연하고 있다. 1965년부터 계속된 일요일 연경반(경전연구반) 강의는 이번 학기가 마지막이다.[사진=김성룡 기자]
“예수의 부활이 뭔가. 몸이 다시 살아났다 해도 그게 나와 무슨 상관이 있나. 그걸 따져보라.”

7일 오전 9시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의 신학대학원 지하 강당. 일요일 아침인데도 강당은 꽉 찼다. 어림잡아도 100명이 넘었다. 다들 김흥호(88·전 이화여대 기독교학과 교수) 목사의 ‘일요 강연-신약성경’을 들으러 온 ‘목마른 사람들’이었다. ‘일요 강연’을 시작한 지는 40년이 넘었다. 올 하반기가 마지막 강연이라고 한다.

김 목사는 기독교계를 대표하는 영성가이자, 신학자이자, 구도자다. 유(儒)·불(佛)·선(仙)에도 통달한 그를 일부에선 ‘기독교 도인’이라고도 부른다. 강당을 가득 채운 청중의 수준도 만만찮다. 셋 중 하나는 대학교수라고 한다.

“죽어서, 천국에 가서 편안하게 낮잠을 자겠다고 예수를 믿는 건가. 그건 아니다. 지금은 일을 많이 못하지만, ‘나’도 예수처럼 부활해서, 지금보다 높은 차원이 돼서, 더 많은 일을 해야겠다고 예수를 믿는 거다.” 그의 강연은 차분하고 힘이 넘쳤다. 또 ‘숨결’도 있었다. 그 ‘숨결’은 끊임없이 꿈틀댔다. 한 마디, 한 마디가 살아서 펄떡거렸다. 7일과 지난달 30일, 이틀에 걸쳐 강의가 끝난 그와 마주 앉았다. 아흔을 내다보는 나이, 청년 못지 않게 정정한 그에게 ‘인간’을 묻고, 또 ‘신’을 물었다.

-예수의 부활은 ‘몸의 부활’이 아니라고 했다.

“물론이다. 예수가 무덤에서 걸어나오든, 안 걸어나오든 나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 그게 미라가 다시 일어나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 그럼 묻겠지. 그리스도는 어디에 있어야 하나. 바로 ‘내 안’에 살아야 한다. 나는 오늘 강연을 하려고 평택에서 차를 타고 서울까지 올라왔다. 그때 그리스도가 어디에 있느냐가 중요한 거다. 내가 지금 말을 하고 있지 않나. 이 순간 그리스도가 어디에 있느냐가 중요한 거다.”

-그럼, ‘지금 여기’에서 그리스도는 어디에 있나.

“내 안에 있다. 진짜 기독교인이라면 ‘내’가 사는 것이 아니다. ‘내 안의 그리스도’가 사는 것이다. 그걸 매순간 느껴야 한다. 그래서 나는 그리스도의 부활을 믿는다. 아무리 믿지 않으려 해도, 안 믿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내’가 사는 게 아니라, ‘내 안의 그리스도’가 살면 무엇이 달라지나.

“한없는 기쁨이 생긴다 이거지. 거짓말 안 하고, 정직하게 살고 싶어 진다 이거지. 조금이라도 여러분을 도와주고 싶어진다 이거지. 뭔지 모를 기운이 내 안에서 계속 뿜어져 나온다 이거지. 나는 그걸 ‘기쁨’이라고 부른다.”

-어릴 적 목사님은 병약했다고 들었다.


“나는 병이 참 많았다. 1년에 두 달은 아파서 학교에 못 갔다. 죽을 고비도 네 번이나 넘겼다. 그러다 35세 되던 해 3월17일 오전 9시5분에 ‘나’를 알게 됐다. 소크라테스가 ‘너 자신을 알라’고 한 것도 ‘본래적인 자신’을 알라는 얘기다. 그때 내 삶이 바뀌었다. 35세 이전에는 ‘내 힘’으로 살았다. 그러나 35세 이후에는 ‘하나님의 힘’으로 산다. 그래서 행복하다. 지적인 면, 정적인 면, 행적인 면 모두 말이다.”

-‘나’를 안 그 순간은 어땠나.

“시간제단(時間際斷·시간의 끊어짐)이 일어난다. 35세 전에는 고민이 많았다. 나는 모태신앙이다. 그런데도 예수를 믿는 것이 쉽지 않았다. 아무리 믿으려고 애를 써도 믿어지지가 않았다. 당시 키에르 케고르, 하이데거 등 실존과 철학을 공부하면서도 생각은 끊어지지 않았다. 내일 죽는다고 해도 생각은 끊어지지 않았다. ‘인간’은 죽는 순간까지 생각하는구나 싶었다. 그런데 35세 때 생각이 ‘딱!’ 끊어졌다. 그때 ‘실존’을 알게 됐다. 소크라테스가 말한 ‘실존’이 이것이구나를 알게 됐다.”

-그 ‘실존’이란 무엇인가.

“진실된 존재다. 거짓 존재가 아니라는 얘기다. 그게 ‘내 안에 사는 그리스도’다. 35세 전의 ‘나’는 거짓 존재였다.”

-하루 한 끼만 먹는다고 들었다. ‘1일1식(一日一食)’한 지는 얼마나 됐나.

“올해로 45년이 넘었다. 몸이 약해 사람들은 내게 서른 살을 넘기지 못할 거라고 했다. 그런데 ‘1일1식’한 뒤로 병이 없어졌다. 오히려 내 안에서 에너지가 샘솟는다.”
-‘1일1식’을 시작한 이유는.

“스승인 다석 유영모(1890~1981) 선생도 1일1식을 했다. ‘다석(多夕)’이란 호도 ‘夕(석)+夕(석)+夕(석)=多夕(다석)’해서 ‘하루 세 끼를 한 번(저녁)에 먹는다’는 의미로 지은 것이다. 유영모 선생은 ‘1일1식’하며 하루 10시간씩 강의했다. 그만큼 에너지가 나온다. 다석 선생은 인도의 간디가 ‘1일1식’했다는 얘길 듣고 “비결이구나”라며 시작했다. 석가도 ‘1일1식’을 했다고 한다. 나는 스승을 따라 ‘1일1식’을 시작했다.”

-목사님은 기독교인이다. 왜 유·불·선을 공부했나.

‘나’를 알기 위해서다. 과거 우리 역사에는 도교도 있고, 불교도 있고, 유교도 있었다. 그게 나의 아버지, 할아버지, 그 할아버지의 할아버지, 바로 조상의 삶이었다. 나도 모르는 나의 의식 속에는 유교도 있고, 불교도 있고, 도교도 있다. 그래서 ‘나’를 알기 위해서 공부했다.”

-철학과 과학, 예술과 종교도 얘기한다.

“철학을 모르면 ‘나’를 모르고, 과학을 모르면 ‘물질세계’를 모르고, 예술을 모르면 ‘아름다움’을 모르고, 종교를 모르면 ‘생명’을 모른다. 그러니 철학도, 과학도, 예술도, 종교도 알아야 한다. 65세 정도 되니까 할 일이 없다고 얘기한다면 그건 틀린 얘기다.”

-가장 뿌리 깊은 인간의 욕망은 뭔가.

“식욕과 성욕이다. 그런 욕망이 내 속에 있는 ‘악마’다. 성경에도 ‘악마는 늘 집에 있느니라’란 구절이 있다. 무슨 말인가. 집안 식구가 ‘악마’란 얘기다. 그럼 ‘악마’가 어디에 있겠는가. 바로 내 마음 속에 있는 것이다. 마음 속에 악마가 있으니, 집안에 있는 악마에도 걸리는 것이다. 내 안에 악마가 없다면, 집안의 악마에도 걸릴 일이 없게 된다.”
-그 악마를 어찌해야 하나.

“교회에 나간다고 그리스도를 믿는 게 아니다. 바로 내 안의 그리스도를 믿어야 한다. 그러려면 내 안의 악마를 짓밟아버려야 한다. 그래야 그리스도가 내 안에 들어온다. 그래야 내 안에 그리스도가 살게 된다. 예수가 누구인가. 자기 속의 악마를 이긴 자다. 그래야만 세상을 이긴 자가 된다.”

-성경에는 “내가 너희 안에 거하듯, 너희가 내 안에 거하라”는 구절이 있다. ‘거함’의 의미는.

“예수님의 생각이 내 생각이 되는 것이다. 그게 마음속에 거하는 것이다. 처음에는 그렇게 되려고 노력한다. 그러다 어느 정도 되면 깨닫게 된다. ‘내가 예수님의 생각과 같이 생각해야 하는구나.’ 그러나 그게 내 힘으로 안됨을 알게 된다. 자력(自力)으로 안됨을 말이다.”

-그럼 어찌해야 하나.

‘내 힘으로 안 되는구나’를 절감해야 한다. 그리고 나를 놓아야 한다. 그 순간에 시간이 제단된다. 그렇게 시간이 끊어진다. 그리고 매순간 타력(他力)을 느끼며 살게 된다. 그게 ‘성령의 숨결’이다. 시간제단을 경험하면 다시는 예전으로 돌아가지 않게 된다.”

-불교에선 ‘돈오돈수(頓悟頓修·깨치면 더이상 닦을 것이 없다)’와 ‘돈오점수(頓悟漸修·깨친 후에도 계속 닦아야 한다)’ 논쟁이 여전하다. 정말 다시는 돌아오지 않게 되나.

“물론이다. ‘돈수’니 ‘점수’니 하는 건 한가한 얘기다. 헤엄을 쳐서 태평양을 건너는 게 인간의 삶이다. 그게 자력이고, 그게 점수다. 그럼 ‘돈오’는 뭔가. 헤엄을 치다가 큼지막한 배를 타는 것이다. 배를 탄 세계는 어떤가. 한없이 평화롭고, 한없이 자유롭다. 반면 헤엄을 쳐서 태평양을 건널 때는 어떤가. 늘 공포와 불안, 절망 속에 잠겨 있다. 둘은 하늘과 땅 차이다. 그런데 태평양을 건너다가 배를 탔는데 다시 헤엄을 치겠다며 내려가는 사람이 있겠는가. 만약 있다면 그를 깨달았다고 할 수 있겠는가. 그건 깨달음이 아니다.”

-‘나’와 ‘하나님’ 사이에 왜 간격이 존재하나.

“담벼락 때문이다. 그래서 ‘하나님’과 ‘나’ 사이의 담벼락을 깨야 한다. 그 담벼락이 뭔가. 바로 ‘죄’다. 탐욕과 식욕, 성욕 같은 욕망이 모두 담벼락이다. ‘하나님’과 ‘나’를 막고 있는 담벼락이다. 그걸 치워버려야 ‘하나님’과 ‘나’가 하나가 된다. 그게 바로 율곡(栗谷) 철학의 핵심이기도 하다. 둘이 하나가 되고, 하나가 둘이 되는 것이다.”

-‘나알알나(www.naalla.com)’라는 인터넷 사이트를 꾸렸다. ‘나알알나’는 무슨 뜻인가.

‘나를 알면 앓다 낫는다’는 의미다. ‘나’를 안다는 것, 그거이 철학이다. 앓다 나았다는 것, 그거이 도덕이다. 그래서 철학에서 도덕이 나온다. 그 철학과 도덕을 합치면 ‘종교’가 된다. 종교는 지행합일이 돼야 한다. 그래야만 건강한 정신과 건강한 육체를 가질 수 있다. 그래야 내 안에 그리스도가 살게 된다.”


백성호 기자 , 사진=김성룡 기자


김흥호 목사는

1919년 황해도 서흥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기독교 목사였다. 평양고보를 나온 그는 일본으로 유학, 와세다 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해방 후 귀국해 후학 양성을 위해 용강중학교를 설립해 교장을 역임했다. 조만식 선생의 제자로도 활동했으며, 다석 유영모 선생 밑에서 6년간 사사했다. 47년에는 월남해 국학대학(이후 고려대와 통합됨)의 철학 교수를 지냈다. 그러다 35세 되던 54년에 십자가와 부활을 체험했다. 이후 그의 삶이 크게 바뀌었다.

55년부터 84년까지 이화여대 기독교학과 교수와 교목실장을 지냈다. 46세 때부터 이화여대 대학교회에서 유불선의 경전을 강연하는 ‘연경반 강의’를 시작했다. 86년에는 감리교 신학대학으로 옮겨 종교철학과 교수를 지냈다. 그때가 67세였다. 96년에는 이화여대에서 명예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세간과 천국 >

1. 世間
세상은 어떤 곳인가
十字架本資血盟( 십자가본자혈맹)
십가자는 본래 피로 맺어진 관계다.
돈이나 물질의 관계가 아니다.

贖罪辛苦乘利得 (속죄신고승리득)
그런데 죄를 속해준다고, 속죄라 하면서 그리스도의 비참한 고통을 타고 올라 이득을 취하는 놈들이 많은 세상이다.

從橫兩主室里田(종횡양주실리전)
가로를 좇는 세상, 횡재하겠다고 돈과 권력을 쫓는 세상은,  두 주인을 섬기는 집이요 마을이요 세상이다.
일어서서 위로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누워서 누리기를 좋아하는 세상이다.

昇降一心合晦朔 (승강일심합회삭)
올라타는 놈과 깔리는 놈이 한 마음으로 야합하여 욕심을 채우는 세상은 그야말로 빛이 없는 암흑세상이다.

2. 天國
천국
合上離晦自尊心 (합상이회자존심)
어둠을 떨치고 하늘에 올라가 본래의 자기 자신의 존귀한 마음과 하나가 되고

侍下順從子處事 (시하순종자처사)
땅 아래로 내려와 아버지를 모시며 아버지께 순종하여 아들로서 맡은 바 일을 처리하니

父子聖靈氤氳氣 (부자성령인온기)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 언제나 성령의 기운이 올라가고 내려와 넘치고 넘친다.

生命誠康恩慧史 (생명성강은혜사)
영원한 생명은 언제나 진실하고 강건하여 은혜와 지혜가 길이길이 빛난다.